ETC
-
집에서 우분투 나스 두 개 쓸 때!!! (초보 참고)카테고리 없음 2019. 9. 9. 00:02
당신은 초보인가?! 나도 초보이다. 쉽게 설명하겠다. 우여곡절 시행착오 기록용이다. 나스 1 : 포트포워딩을 각각 기본 포트로 열어주고 아파치기준으로 호스트를 :80 으로 맞춰준다 나스 2 : 포트포워딩을 나스 1과 다르게 한다 두 개의 나스를 운용할 때 핵심은 포트포워딩이다.!!!! (중요) 1. 기본적으로 공유기의 포트포워딩으로 포트를 열어줘야하고 2. 아파치2 기준으로(이게 젤 쉽다) 아파치 호스트를 1과 2를 달리해주는게 포인트다. 다르게 해야하는 포트 → 포트는 결국 맘대로 정해주고 공유기에서 잘 열어주기만 하면 된다.!!!!! [transmisson-daemon] 나스 1 = 9091(기본포트) 나스 2 = 9000 [apache2] *** 이 놈이 핵심이다. 나스 1 = 80 나스 2 = 5..
-
(NAS 기록용) webdav 계정 추가NAS 2019. 9. 7. 17:33
서버환경 : g2020 2기가 램 WEBDAV 계정 신규 계정추가!!! [root@계정] #htpasswd -c /경로/passwd.dav [계정] 예) webdav 사용을 위해 테스트(test) 계정을 생성. [root@계정]# htpasswd -c /var/www/web1/passwd.dav test New password: Re-type new password: Adding password for user test [root@cas web1]# ※ 위 명령어의 -c 옵션은 passwd.dav 파일이 이미 있다면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 지므로 최초 생성 이후 추가 계정을 만들때에는 사용하지 말것! 즉, 추가 계정 생성시에는 -c 옵션을 제외하고 실행 (중요!!) *1 '#' 은 'sudo'라고 생각하면..
-
우분투 error ) sudo: /usr/bin/sudo must be owned by uid 0 and have the setuid bit setNAS 2018. 5. 24. 16:41
우분투 error 내용 :sudo: /usr/bin/sudo must be owned by uid 0 and have the setuid bit set ● 원인 : 명령창에서 우분투 계정에 루트 권한 만지면서 꼬인듯● 증상 : 우분투 로그인 계정에서 sudo 명령어 안 먹고, 위 상자와 같은 에러 메시지 보냄● 해결 : 참조 사이트(링크) ※ 해결방법pkexec chmod 4755 /usr/bin/sudopkexec 4755 /usr/bin/sudo ● 결과 : 정상적으로 우분투 로그인계정에서 sudo 명령어 됨.
-
-